건강 보험료의 경우 매 월 납부해야 합니다. 소득이 없으니 가장 낮은 금액으로 부탁한다고 하면 ¥2,000 안팎으로 책정됩니다. ¥800 조금 넘게 나온다는 사람도 봤습니다만 극히 드문 경우라 생각합니다. 주변에 물어보니 대부분 ¥2,000 정도더라고요. 나이와 크게 관계없이 외국인 유학생은 고만고만하게 책정하는 듯 합니다.
Q 일본에서 병원 갈 일 없는데 건강 보험료 안 내면 안 되나요?
A 안 내고 생활하다가 귀국한 후 다시는 일본 땅 안 밟는다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재입국 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Q 우리나라에 비해 물가가 많이 비싼가요?
A 교통비는 확. 실. 히. 비쌉니다. 그러나 생활 물가는 비슷한 것 같습니다.
한국보다 0이 하나 덜 붙기 때문에 돈 쓸 때 주의해야 합니다. 실제로 자판기 커피 밑에 ¥100 이라 쓰여 있으면 싸다 생각하고 뽑아먹는데, 생각해보면 1,000원입니다. 한국에서 레쓰비 한 캔 뽑아먹을 때 700원 넣고 비싸다고 궁시렁거렸던 거 생각하면... -_ㅡ;;;
Q 도쿄가 좋을까요, 오사카가 좋을까요?
A 선택은 본인이 하는 겁니다만, 도쿄는 올림픽 앞두고 이래저래 비싸지는 추세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지역 선택할 때 1도 망설이지 않고 오사카 선택했습니다. 간사이 사투리 배우고 싶어서요. 하지만 학교에서는 표준어만 가르칩니다. 간사이 출신 선생님에게도 사투리로 가르치지 말라 한답니다. 하지만 생활하면서 사투리를 접할 수 있으니까요. 일본어로 '한 뚝배기 하실래예?' 라고 말하고 싶다면 지방이 낫습니다. ㅋㅋㅋ
도쿄, 오사카를 제외한 지역은... 워킹 홀리데이는 어렵지 않겠지만 유학은 거의 없다 보시면 됩니다. 저 두 도시에 편중되어 있습니다. 유학원 통하지 않고 직접 오카야마로 가려고 아둥바둥하다가 실패했습니다. ㅠ_ㅠ
Q 한국에서 쓰던 스마트폰, 그대로 쓸 수 있나요?
A 컨트리 락 걸려 있는 게 아니라면 USIM만 바꾼 후 쓸 수 있습니다. 컨트리 락 여부는 한국의 통신사에 문의하세요.
Q 한국에서 쓰던 충전기는요?
A 대부분 프리 볼트니까 앞에 돼지코만 끼우면 쓸 수 있습니다. 제품 본체에 100V ~ 240V 등으로 쓰여 있으면 프리 볼트입니다.
Q 일본에서 아이폰 사면 싼가요?
A 예전에 ¥900 정도로 환율 떨어진 게 반영되었을 때에는 그랬었습니다.
2015년인가 2016년이었던 거 같은데 환율이 떨어져서 ¥800대 찍고 그랬던 적이 있습니다. 그게 제품 가격에 반영이 되어 일본에서 애플 제품 사면 엄청 이득 보던 시기가 있었더랬지요. 하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제품 가격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일본에서 사면 조금 싸긴 합니다. 하지만 왔다갔다 항공료와 기타 비용을 따져보면 아이폰 사러 일본 오는 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일입니다. 2018년 11월 현재에는 그렇습니다.
Q 일본에서 한국 방송 볼 수 있나요?
A 볼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볼 수 있는 기기가 있습니다. 많이 비싸지도 않고요. 하지만 화질도 구리고 채널도 몇 개 안 된다는 평을 보고 안 샀습니다. 채널 몇 백 개 된다고 광고하는데 대부분 쓰잘데기 없는 거라고 하더라고요. 이런저런 편법(?)을 이용해서 보는 분들도 계시다고 합니다만, 저는 한국 방송은 거의 안 봅니다. 저작권 무시하고 유튜브에 올라오는 게 있긴 한데, 부지런히 일본어 공부해서 일본 방송 보고 낄낄댈 수 있었음 좋겠네요. ㅋ
내용은 생각날 때마다 야금야금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탭 S5e (0) | 2019.05.15 |
---|---|
일본에서 한국 방송 보기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으로) (0) | 2019.01.12 |
NHK 수신료 납부를 피하라! (0) | 2018.11.04 |
일본에서 처음 시켜먹은 피자 (0) | 2018.10.27 |
신칸센 표 예매하기 (0) | 2018.10.17 |